Spring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에 대해서 - 컴도리돌이 개발을 하면서 "이 부분은 코드가 반복되는데,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라는 생각을 정말 매 순간 하는 거 같아요. 🥲 그중 하나의 해결 책으로 AOP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어요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AOP는 프로그램의 특정 동작을 관심사라는 개념으로 분리해서 관리하는 기법이에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코드에서 여러 곳에서 반복되는 공통된 로직을 한 곳에 모아둔 후, 필요할 때마다 그 로직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는 거예요. 이렇게 하면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유지 보수가 훨씬 쉬워지죠 👍 예를 들어, 로깅이나 트랜잭션 관리와 같은 로직은 다양한 메서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돼요. 만약 이런 로직을 각 메서드에 직접 작성한다면 코드가 지저분해질 뿐 아니라, 유지보수도 어려워.. 더보기 [Spring] 제어의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에 대하 Spring의 Ioc/DI은 Spring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개념들이지만, 때로는 그 깊은 의미를 되새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이야말로 Spring의 근본을 이루는 핵심정인 원리이기 때문이죠. 저 또한 2022년에 작성한 글을 전부 삭제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2024년에 new 포스팅 글을 작성하려고 해요.😊 Ioc, 즉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과 DI,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은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더 유연하고 테스트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해요. 여기서 궁금한 점은 왜 Spinrg은 굳이 IoC와 DI를 통해 객체 관리를 하도록 했을까요? 🤔 그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깊이가 있습니다. 소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