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AWS 보안 그룹 설정과 원본(Source) 개념- 컴도리돌이 이번에 Elasticsearch를 새로 도입하면서, 브랜치를 만들어서 작업물을 푸시하고, 서브도메인을 따서 테스트하려고 했습니다. 톰캣 설치, 젠킨스 설치, 아파치 웹 서버 설정, 서브도메인 연결… 여기까지는 다 문제없었죠. 빌드도 성공하고, WAR 파일 생성도 확인했으며, 서브도메인 접속도 잘 되더군요. 완벽하다 싶었는데… Elasticsearch 서버와의 통신이 안 되는 겁니다! 분명 방화벽 문제 같았고,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도 제대로 설정한 것 같은데, 원인을 한참 찾느라 헤매다 결국 팀장님이 도와주셨죠. 😅 알고 보니… 문제는 제가 보안 그룹 설정의 "원본 (source)" 개념을 잘못 이해한 거였어요. 그래서 여러분도 저와 같은 멍청한 짓을 피할 수 있도록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 더보기 [AWS][Route 53] DNS 레코드에 대해서 - 컴도리돌이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인프라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컨펌받으면서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이번 기회에 해당 내용들을 차근차근 정리하려고 해요. 😊사실 레코드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서브도메인 이름 알맞게 넣고, 기본 유형에 인스턴스 ip, 그리고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레코드의 ttl를 따라 하거나, 적정한 값에서 조절하면 되고 라우팅 정책도 다른 레코드와 유사하게 아니면 기본적인 값을 집어넣으면 돼요. 😎 짜잔 10초 만에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답니다. 😆😆 하지만 저는 각 항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포스팅하려고 해요. AWS Route 53에서 레코드를 생성할..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