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Git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Hub] GitHub Actions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AWS EC2에 배포하기 - 컴도리돌이 이번 글에서는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AWS EC2에 배포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main 브랜치에 push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워크플로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 전체 과정은 코드 체크아웃, Java 환경 설정, 환경 변수 복원, AWS 인증 및 보안 설정, Gradle 빌드, JAR 파일 전송, 그리고 EC2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itHub Actions가 실행되면 가장 먼저 수행되는 작업은 무엇일까요? 바로 저장소의 코드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actions/checkout@v3를 사용하여 최신 버전의 코드를 runner 환경으로 다운로드합니다.steps: - name: Chec.. 더보기 [git] git stash에 대하여 - 컴도리돌이 여러분이 작업하고 있는데 갑자기 브랜치를 바꿔야 할 때나, 혹은 당장 커밋하기에는 좀 이른 감이 있지만 다른 작업을 할 때, 그냥이라면 간단하게 코드 변경사항을 잠시 숨겨놓고 싶을 때가 있을 겁니다. 이럴 때에 사용하기 편한 것이 바로 git stash라고 할 수 있습니다. git stash 명령을 사용하면 작업한 디렉토리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하게 됩니다. git stash를 사용하여 저장하면, 스택(Stack) 형식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git stash는 git으로 버전 관리를 하고 있는 파일들에 수정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기 때문에 새롭게 생성된 파일을 저장되지 않습니다. 새롭게 생성한 파일도 함께 임시 저장하고 싶다면, git add로 새롭게 생성된 파일들을 git으로 관리하도록 한 후, git.. 더보기 이전 1 다음